전체메뉴닫기
  • 이데일리
    실시간 뉴스와
    속보를 어디서나
  • 이데일리MVP
    금융정보 단말기의
    모바일 서비스
  • MP 트래블러
    차세대 모바일
    트레이딩 시스템
  • 스타in
    연예·스포츠 랭킹 매거진
  • 전문가방송
    증권 전문가방송을
    스마트폰으로

"파업시계 이미 돌아갔다"…현대차 노조 7년 만의 파업, 이번주가 '분수령'

2025.09.01 11:08 | 정병묵 기자 honnezo@

[이데일리 정병묵 기자] 현대차 노사의 2025년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 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졌다. 기본급과 정년연장 등 쟁점 요구안을 두고 양쪽 입장이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협상 결렬 2주 만인 지난 주 협상 테이블에 다시 앉았지만 서로 입장 차이만 확인한 터라 이번 주가 파업의 분수령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파업시계 이미 돌아갔다`…현대차 노조 7년 만의 파업, 이번주가 `분수령`
현대자동차 노사 대표가 지난 6월18일 울산공장에서 올해 임금 및 단체협약 상견례를 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1일 전국금속노조 현대자동차지부는 “단체교섭 두 달여 만에 사측이 내놓은 1차 제신안은 실망스럽고 부족하다”며 “조합원의 희생 노력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은 형식만 갖춘 제시안은 수용할 수 없다”고 발표했다.

현대차는 지난달 28일 울산공장에서 열린 2025년 임단협 제19차 교섭에서 1차 제시안으로 기본급 8만7000원 인상을 제안했다. 성과금·격려금은 350%+1000만원과 주식 10주(27일 종가 기준) 지급 등을 제시했다. 이는 2025년 경영목표 달성과 하반기 위기극복, 글로벌 자동차 어워즈 수상 기념 등에 따른 보상이다.

그러나 노조는 기본급 14만1300원 인상(호봉승급분 제외), 지난해 순이익의 30% 성과급 지급, 통상임금에 각종 수당 포함, 직군·직무별 수당 인상 또는 신설 등을 요구 중이다. 특히 19차 교섭에서 중점안으로 논의된 사안 중 하나는 정년연장 문제다. 노조는 현재 60세인 정년을 국민연금 수령 개시 전년 연말(최장 64세)로 연장하자고 요구하고 있지만, 사측은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동석 현대차 대표이사 사장은 “여러 쟁점이 남아 있는 상황이나 국면전환을 하는 의미에서 (협상안을) 제시했다.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실무에서 논의해야겠지만, 최종안에 준하는 제시를 했다는 것을 인식해달라”면서 “교섭은 회사와 노동조합이 만나 소통해서 타협점을 찾는 것이지 한 쪽이 일방적으로 부족하다고 몰아치는 것은 아니다. 이해의 폭을 넓혀달라”고 호소했다.

그러나 노조는 사측 안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노조는 이날 “파업 시계가 돌아가고 있다고 분명히 경고했다”며 “사측이 전향적이고 책임 있는 제시안을 내놓지 않는다며 파국을 면할 수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 “4만2000명 조합원의 분노는 일시적인 감정이 아니라 자존심이 짓밟히는 모멸감이 폭발 직전의 에너지가 된 것”이라며 “요구를 끝내 외면한다면 총파업으로 분노를 표출시킬 것”이라고 했다.

현대차 노사는 이번주 사측이 2차 제시안을 내놓기 전까지 비공개 실무교섭과 본교섭을 병행하며 협상안에 대한 의견차를 좁혀 나갈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현대차 노사가 7연 연속 무분규 임단협 타결을 이뤄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이미 파업권을 확보한 노조 측은 당장 다음 달부터 연장근로와 토요일 특근을 하지 않기로 하면서 협상력을 끌어올린단 방침이다. 노조는 지난 13일 임단협 결렬을 선언한 뒤 25일 조합원 투표를 통해 90.93%가 파업에 찬성하며 파업권을 획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