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닫기
  • 이데일리
    실시간 뉴스와
    속보를 어디서나
  • 이데일리MVP
    금융정보 단말기의
    모바일 서비스
  • MP 트래블러
    차세대 모바일
    트레이딩 시스템
  • 스타in
    연예·스포츠 랭킹 매거진
  • 전문가방송
    증권 전문가방송을
    스마트폰으로

현대차, 관세 때문에 3Q 1.8조 증발…"리스크 털고 다시 달린다"(종합) 현대자동차가 올 3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거두고도 미국 자동차 수출관세 25%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1조8000억원가량 증발했다. 미국 정부가 11월 1일부터 관세를 15%로 하향하기로 결정하면서 연말부터는 관세 부담을 덜 전망이다. 경기도 평택항에 수출 대기 중인 자동차 뒤로 컨테이너가 쌓여 있는 모습.(사진=연합뉴스)현대차(005380)는 2025년 3분기 도매 판매 103만 8353대(전년 대비 2.6%↑), 매출액 46조 7214억원(8.8%↑)으로 역대 3분기 기준 최대 매출액을 달성했다고 30일 발표했다. 기존 3분기 최대 매출액은 2024년 3분기의 42조 9283억원이었다. 미국, 유럽 등 주요 시장에서의 판매 호조와 우호적인 환율 효과, 금융 부문 실적 개선 등에 힘입었다. 국내에서는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HEV)와 아이오닉 9의 신차 효과로 스포츠유틸리티차(SUV) 판매가 성장하며 전년 동기 대비 6.3% 증가한 18만 558대가 팔렸다. 해외에서는 전년 동기보다 1.9% 증가한 85만 7795대가 팔렸다. 대외 환경 악화로 신흥시장 판매가 감소했으나 미국에서 전년 대비 2.4% 증가한 25만 7446대가 판매됐다.판매 호조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매출이 4조원 가까이 증가했지만 미 관세 영향으로 이익은 급감했다. 현대차의 3분기 영업이익은 2조 5373억원으로 전년 대비 29.2% 감소했다. 경상이익 3조 3260억원(23.9%↓), 당기순이익 2조 5482억원(20.5%↓) 등 이익 지표가 두자릿수대 하락률을 나타났다.이승조 현대차 재경본부장(부사장)은 이날 컨퍼런스콜에서 “미 관세 영향이 본격화하며 3분기 1조8000억원 영업이익 감소가 발생했다”며 “관세 영향에 따른 손실은 제품 가격 절감보다 비용 절감을 통해 60%정도 만회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관세 손실이 현실화하자 재료비 절감부터 제품 믹스 개선 등을 통해 ‘허리띠’를 졸라 손실폭을 줄였다는 것이다.이에 따라 3분기 영업이익률은 전년 대비 2.9%포인트 하락한 5.4%를 기록했다. 현대차는 지난달 연결 매출액 성장률 목표를 5.0~6.0%로 연초보다 1%포인트 높여 잡으면서도 영업이익률 목표는 6.0~7.0%로 1%포인트 하향했다.현대차는 관세 등 통상 환경의 변화에 따른 손익 영향이 향후 경영 활동의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이지만, 선제적이고 적극적인 컨틴전시 플랜의 추진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이승조 부사장은 “29일 밤 한미 관세협상 타결 소식을 듣고 매우 반가웠다”며 “11월 1일부터 15% 관세가 소급 적용된다는 전제 하에 향후 정확한 손익 금액을 계산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정부 협상 노력이 결실을 맺으며 관세 불확실성이 해소됐고 향후 예측가능한 사업 운영이 가능해진 게 긍정적인 효과”라고 덧붙였다.이 부사장은 “향후 신차뿐만 아니라 양산차 원가절감에도 역량을 집중하고 특히 하이브리드차 원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장기 로드맵을 재검토 중”이라며 “코로나19 시기에도 위기를 기회로 잡아 성장한 것처럼 위기를 기회로 삼겠다”고 강조했다.

정병묵 기자
현대차, 관세 때문에 3Q 1.8조 증발…

시승기

갤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