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닫기
  • 이데일리
    실시간 뉴스와
    속보를 어디서나
  • 이데일리MVP
    금융정보 단말기의
    모바일 서비스
  • MP 트래블러
    차세대 모바일
    트레이딩 시스템
  • 스타in
    연예·스포츠 랭킹 매거진
  • 전문가방송
    증권 전문가방송을
    스마트폰으로

美 전기차 보조금 종료…현대차·기아 가격 경쟁력 시험대

2025.10.02 15:10 | 이배운 기자 edulee@

[이데일리 이배운 기자] 북미 시장에서 입지를 다지던 현대차·기아가 미국 전기차 세액공제가 종료되면서 중대한 시험대에 올랐다. 보조금 없이도 가격 경쟁력을 지켜야 하는 상황에 직면한 것이다.

美 전기차 보조금 종료…현대차·기아 가격 경쟁력 시험대
경기도 평택항 동부두 내 기아 전용 부두 야적장에 선적을 기다리는 차량 수천대가 세워져 있다. (사진=이데일리 이영훈 기자)
2일 업계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10월부로 전기차 세액공제 제도를 6년 앞당겨 전격 종료했다. 이 제도는 전기차 구매자에게 최대 7500달러(한화 약 1052만원)를 지원해왔다.

보조금 종료는 수요 위축으로 직결될 전망이다. 시장조사업체 콕스오토모티브에 따르면 미국에서 전기차는 내연기관차보다 평균 9066달러(약 1271만원) 비싸다. 그동안 세액공제가 이런 가격 격차를 완화했지만 이제는 소비자 부담이 크게 늘 수밖에 없다.

한국경제인협회는 한국산 전기차 판매가 연간 최대 4만 5000대 줄 수 있다고 전망했고, 전미경제연구소도 현지 생산 기반을 갖춘 기업조차 판매량이 최대 37% 감소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현대차그룹은 단기 대응책으로 ‘가격 카드’를 꺼냈다. 2025년형 아이오닉5 구매자에게 최대 7500달러 현금 리베이트를 제공하고, 리스 계약에도 같은 혜택을 적용하기로 했다. 재고 물량에도 동일한 조건을 유지해 수요를 붙잡겠다는 전략이다.

장기적으로는 미국 현지 생산 확대에 집중하고 있다. 조지아주 전기차·배터리 공장을 본격 가동해 아이오닉5와 차세대 아이오닉9을 현지 조립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운송비와 관세 부담을 줄이고 원가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구상이다.

그러나 업계의 시선은 여전히 불안하다. 리베이트와 할인은 기업이 직접 부담해야 해 수익성이 대폭 악화될 수밖에 없다. 게다가 테슬라와 중국 업체의 저가 공세 속에서 단순 가격 인하만으로는 대응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여기에 관세 문제까지 겹쳤다. 미국은 일본과 유럽연합(EU)산 자동차 관세를 15%로 낮췄지만 한국산은 여전히 25% 고율 관세를 적용받고 있다. 가격 경쟁력은 더 약화된 가운데 관세 인하 시점조차 불투명한 상황이다.

IBK투자증권은 “현 수준 관세가 지속되면 현대차·기아는 매달 7000억원 안팎의 부담을 떠안게 될 것”이라며 “가격 경쟁력이 강점이던 한국산 자동차가 불리한 위치에 설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