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닫기
  • 이데일리
    실시간 뉴스와
    속보를 어디서나
  • 이데일리MVP
    금융정보 단말기의
    모바일 서비스
  • MP 트래블러
    차세대 모바일
    트레이딩 시스템
  • 스타in
    연예·스포츠 랭킹 매거진
  • 전문가방송
    증권 전문가방송을
    스마트폰으로

관세 리스크에도 가격 낮춘 현대차·기아…3Q 미국서 '질주'(종합)

2025.10.02 15:05 | 정병묵 기자 honnezo@

[이데일리 정병묵 기자] 현대차(005380)·기아(000270)가 관세 악재를 뚫고 미국에서 역대 9월 및 3분기 사상 최고 판매실적을 새로 썼다. 아이오닉 5, EV6 등 주력 전기차 및 인기 하이브리드 모델 판매 호조 덕분이다.

관세 리스크에도 가격 낮춘 현대차·기아…3Q 미국서 `질주`(종합)
아이오닉 5 N 신규 트림 ‘에센셜(Essential)’. (사진=현대차)
2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기아는 9월 미국에서 14만3367대를 판매, 전년 대비 12.8% 증가하며 9월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현대차(제네시스 포함) 7만7860대(12.8%↑), 기아 6만5507대(11.2%↑)로 각각 역대 9월 최고치다.

3분기 현대차·기아 합산 판매량은 48만175대로 역시 역대 분기 최대치다. 현대차(제네시스 포함) 26만538대(12.7%↑), 기아 21만9637대(11.1%↑)를 판매했다.

럭셔리 브랜드 제네시스도 3분기 미국에서 전년 동기 대비 7% 성장한 2만1469대를 판매하며 사상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10월 전기차 보조금 폐지를 앞두고 전기차 ‘막차’ 수요가 몰렸다. 아이오닉 5는 전년 대비 152%나 증가한 8408대를 판매하며 9월 사상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

현대차는 2026년형 아이오닉 5 가격을 최대 9800달러 인하하고 2025년형 모델에는 7500달러 현금 인센티브를 제공했다. 이에 따라 9월 친환경차 판매량(4만4701대)은 지난해 9월(2만6151대) 대비 70.9%나 증가했다. 미국 내 현대차·기아 친환경차 판매 비중은 31%에 달하고 있다.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은 “우리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시행보다 훨씬 이전에 전기차 혁신에 투자해 왔으며, 정책 변화에 관계없이 합리적인 가격과 고객 서비스를 최우선으로 고려할 것”이라면서 보조금 폐지 이후에도 가격 정책을 유지할 것이라고 시사했다.

3분기 미국 판매량은 △제너럴모터스(70만8360대) △토요타(62만9137대) △포드(54만2983대)에 이어 4위를 차지했다. 5위부터는 △혼다(35만8848대) △닛산·미쓰비시(24만3024대) △스바루(16만1262대) △폭스바겐그룹(8만9095대) 순이다.

현대차그룹은 미국에서 이익을 줄이는 대신 판매 확대를 택한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대미 자동차 수출 관세가 25%로 유지되고 있는 상황에서 오히려 적극적인 판촉으로 현지 점유율을 끌어올리겠다는 전략이다.

실제 현대차는 올해 실적 전망에서 매출액은 상향했지만 영업이익률은 하향 조정했다. 현대차는 지난달 기업설명회에서 전년 대비 연결 매출액 성장률 목표는 올해 초 제시한 3.0~4.0%에서 5.0~6.0%로 높여 잡았다. 그러나 연결 부문 영업이익률 목표는 관세 영향을 반영해 기존 7.0~8.0%에서 6.0~7.0%로 낮춰 설정했다.

향후 현지 생산 비중을 늘리고 관세 부담을 덜면 △2027년 7~8% △2030년 8~9%로 연간 영업이익률이 증가할 것이라는 계산이다.

무뇨스 사장은 “이러한 수치는 단순한 성장 그 이상의 의미”라며 “다양한 제품 라인업의 강점, 뛰어난 딜러들의 헌신 덕분”이라고 밝혔다. 이어 “탁월한 가치, 품질, 그리고 혁신을 제공하면 고객이 반응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