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FSD, 국내 도로에서도 안정적"…자율주행 관심↑
by이윤화 기자
2025.11.26 15:07
테슬라 감독형 FSD 국내 도입 초반 시장 반응 뜨거워
서울·부산 좁은 골목, 교차로 테스트 영상 온라인 달궈
긍정적인 소비자 반응에 테슬라코리아 적극적 마케팅
전문가들 "기대 큰 반면 안전 및 사고 발생 우려 상존"
[이데일리 이윤화 기자] 테슬라의 ‘감독형 완전자율주행(FSD·Full Self-Driving)’ 시스템이 국내에 도입된 이후 오너들이 올린 주행 영상이 온라인에서 폭발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특히 서울 창동, 부산 도심 등 교통 흐름이 복잡하고 차선 체계가 촘촘한 지역에서 촬영된 영상이 빠르게 확산되며 ‘국내 도로에서도 통한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 | 테슬라 완전 자율주행 시스템으로 부산 연산 교차로를 지나는 모습.(출처=유튜브 캡처) |
|
26일 테슬라 동호회 온라인 카페에 따르면 감독형 FSD 사용자들은 “개입 빈도가 확연히 줄었다”, “좌회전·차선 변경이 이전보다 자연스럽다” 등 긍정적인 경험담을 공유하고 있다. 기존의 ‘반쪽짜리 자율주행’이라는 인식을 걷어낸 데다, 일상 주행 구간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모습을 보인 영상들이 연이어 등장하면서 테슬라 차량에 대한 관심도 동반 상승하는 분위기다.
실제 커뮤니티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는 “이 정도면 다음 차는 테슬라로 가야 한다”, “FSD가 결정적인 구매 요인이 될 것 같다”는 반응이 심심치 않게 올라온다. 국내 제조사들이 제공해온 첨단 운전자 보조시스템(ADAS) 기반의 반자율 기능에 비해 테슬라 FSD가 ‘운전의 대부분을 시스템이 맡는 경험’을 제공한다는 평가가 확산되면서, 국내 출시 초기임에도 전기차 구매를 고민하는 소비자들 사이에서 이른바 ‘FSD 프리미엄’이 형성되고 있는 셈이다. 테슬라 오너들 역시 “국내에서도 드디어 FSD를 제대로 체험하는 시대가 왔다”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런 흐름에 힘입어 테슬라코리아도 국내 마케팅을 확대하는 분위기다. 11월에만 대전, 원주, 창원에 서비스센터 및 팝업 전시장을 선보이며 고객 접점을 늘리고 있다. 사이버 트럭 전시도 경기도 성남시 분당, 제주, 대구 등으로 확대했다.
| | 서울 창동 골목길에서 테슬라 감독형 FSD 모드로 주행하는 영상. (사진=테슬라 동호회 홈페이지 캡쳐) |
|
초기 긍정적인 시장 반응과 테슬라코리아의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업계에서는 테슬라의 감독형 FSD 도입이 국내 자율주행 시장 전반의 경쟁을 촉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기술 수준 차이를 체감한 소비자들의 기대치가 높아지면 국내외 완성차 업체뿐 아니라 모빌리티 플랫폼·차량용 반도체까지 기술 개발 속도를 높일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업계 관계자는 “아직은 감독형이긴 하지만 테슬라의 FSD 도입이 국내 자율주행 정책과 산업 전반의 분기점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기대만큼이나 우려의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감독형 FSD는 완전한 자율주행이 아닌 ‘운전자 감독을 전제로 한 시스템’이다. 자율주행 2단계에 속하는 감독형 FSD이기에 모든 상황에서 운전자가 주의를 유지해야 하며, 돌발상황 발생 시 즉각적인 개입이 필수다. 사고 발생시 모든 책임도 운전자에게 있다. 더욱이 국내 도로 환경은 신호 체계가 촘촘하고 골목길이 많아 해외보다 난도가 높다는 평가가 우세하다.
기술적 기대와 안전성 논란이 교차하는 가운데 테슬라의 감독형 FSD는 국내 모빌리티 산업과 소비자 인식에 새로운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앞으로 실제 도로에서의 수행 능력, 정부의 제도 정비 방향, 소비자 수용도가 향후 자율주행 기술의 확산을 좌우할 핵심 요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무엇보다 안전성 검증과 책임 체계 확립을 핵심 과제로 꼽는다. 자율주행 시스템이 사고를 유발했을 때의 책임 소재, 보험 적용 범위, 데이터 기반 검증 체계 등 제도적 장치가 기술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부 교수는 “해외 사망사고 사례처럼 FSD나 슈퍼크루즈를 이용하기 시작하면 기술에 의지하게 돼 운전자의 감독이 소홀해지고 자칫 사망 사고까지 발생할 우려가 분명히 있다”며 “향후 추이를 지켜보면서 안전성 문제나 제도적 장치를 통해 보완할 지점을 찾아 개선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