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편관세에 탄소세까지?…수출 우려 더 커진 완성차 업계

by이윤화 기자
2025.01.20 15:02

'트럼프 2기' 재무장관 지명자 '탄소세' 도입 긍정 평가
"실제 도입 가능성 크지 않지만 시행할 경우 부정 영향"
"무역장벽 중 하나로 활용시 현지생산 확대로 대응해야"

[이데일리 이윤화 기자]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가 20일(현지시간) 취임을 앞두고 대미 수출 10% 보편관세에 이어 탄소세까지 언급하면서 국내 완성차 업계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탄소세 도입 가능성이 현재로선 크지 않다고 보면서도 현실화할 경우 완성차 업계는 현지 생산을 늘리는 방향으로 대응할 수밖에 없다고 분석한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 (사진=AFP)
20일 완성차 업계에 따르면 미국이 탄소세 도입을 결정하게 되면 철강업계만큼은 아닐지라도 국내 완성차 수출에 악영향을 줄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탄소세란 제품 생산·사용 과정에서 많은 탄소를 배출하는 상품에 부과하는 세금이다. 자동차는 석유화학처럼 생산 과정에서 탄소 배출이 많은 산업은 아니지만 도장, 프레스 등 공정에서 탄소가 발생해 탄소세 영향권 안에 있는 산업군이다.

무엇보다 지난해 우리나라 대미 수출이 총 1278억달러를 기록, 역대 최대 수준을 나타낸 가운데 자동차가 수출 증대를 이끌어 트럼프 행정부의 관심도가 높다. 지난해 자동차 수출은 전체 대미 수출의 26.8%를 차지했는데, 대미 흑자 기준으로 보면 기여도가 약 60%를 차지한다. 우리나라에는 수출 효자 상품이지만, 미국 기준으로 보면 무역 적자를 일으킨 주요 품목인 것이다.

이 때문에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선 이미 도입을 예고한 보편관세와 함께 탄소세를 가중 부과할 수 있단 예상이 나온다. 미국 정부가 탄소세를 도입하는 등의 조치로 내연기관차를 포함한 친환경차 수입을 줄이면서 자국 자동차 산업 보호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스콧 베센트 재무부 장관 지명자는 상원 인사청문회에서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 정책에 대한 질문에 탄소세를 긍정적으로 평가한 바 있다. 베센트 지명자는 탄소세를 의미하는 ‘외국 오염 수수료’(foreign pollution fee)‘ 관련 질문에 “전체 관세 프로그램 중 하나가 될 수도 있는 매우 흥미로운 아이디어”라고 답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친환경 정책에 관심을 두지 않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탄소세를 무역장벽으로 활용하기 위해 도입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면서도, 현실화할 경우 현지 생산 확대가 확실한 대응 방안이라 조언한다.

조철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016년부터 기후변화를 사기라고 하며 미국 내 탄소세 도입 주장을 묵살했던 트럼프 대통령이 친환경 정책에 중요도를 두는 사람은 아니기 때문에 실제 시행 가능성이 크진 않아 보인다”면서도 “만약 도입한다면 탄소 배출 기준과 세율 등에 따라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다”고 봤다. 이어 “기업들의 수출 측면에선 애로가 생길 수 있어 현지 생산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대응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미국에서 170만대 이상을 판매한 현대차그룹 역시 트럼프 행정부의 탄소세 도입 여부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행정부의 탄소세 도입이) 아직 확정되지 않았고, 영향 또한 그 이후에 예측할 수 있어 관련 내용을 예의주시하면서 다양한 시나리오를 염두에 두고 대응책을 고민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고 말했다.

다만, 대미 수출 비중이 높은 현대차그룹의 경우 현지 대응력은 미리 키워둔 상황이다. 지난해 10월 가동을 시작한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생산능력을 30만대에서 50만대로 늘리는 것이 대표적이다. 강판을 생산하는 현대제철은 미국 내 제철소 건립도 검토하고 있다.

현지 투자 이외 트럼프 행정부와 직접적인 스킨십 강화 행보도 이어가는 중이다. 최근 100만달러(약 14억7000만원) 기부 행렬에 동참한 현대차그룹은 현지시간 20일 개최되는 트럼프 당선인의 취임식 전날 만찬에 장재훈 부회장과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이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