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관 산업부 장관 "미래 모빌리티 1.1조 투자…규제는 적극 개선"
by이배운 기자
2025.09.18 17:23
[2025 이데일리 K-모빌리티 포럼]
"제조 AI 성공이 국가 경쟁력…혁신 경쟁 치열"
"전략기술 세액공제로 민간 과감한 투자 유도"
[이데일리 이배운 기자]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미래 모빌리티 핵심기술 확보를 위해 1조 1000억원 규모의 기술 투자를 지원하고, ‘AI 자율주행 얼라이언스’를 통해 기업의 혁신 성과 창출을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 박동일 산업통상자원부 제조산업정책관이 18일 서울 여의도 FKI플라자에서 열린 ‘2025 이데일리 K-모빌리티 포럼’에서 김정관 장관 축사를 대독하고 있다. (사진=이데일리 방인권 기자) |
|
김 장관은 18일 서울 여의도 FKI플라자에서 열린 ‘2025 이데일리 K-모빌리티 포럼’ 축사를 통해(박동일 산업통상자원부 제조산업정책관 대독) “글로벌 AI 경제 전쟁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해서는 제조 AI 성공이 필수적”이라며 “자동차 산업은 제조 AX(인공지능 전환)의 대표 산업이자 세계적으로 혁신 경쟁이 가장 치열한 분야”라고 밝혔다.
그는 “테슬라를 비롯해 중국 자동차 업계가 자율주행과 소프트웨어 중심차(SDV) 혁신을 앞세워 첨단 AI 자동차로 빠르게 진화하고 차량을 통합 신경망처럼 제어하는 E2E(엔드 투 엔드) 기술도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며 글로벌 경쟁의 과열 양상을 짚었다.
이어 “우리의 AI 모빌리티 수준은 아직 초기 단계지만 제조업의 강한 기반과 함께 반도체, 통신,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충분한 잠재력을 갖추고 있어 기회는 살아 있다”고 평가했다.
김 장관은 또 “정부는 향후 5년간 1조 1000억원 규모의 기술투자를 통해 미래 모빌리티 핵심기술을 확보하겠다”며 “민간 주도의 ‘AI 자율주행 얼라이언스’를 중심으로 성과를 창출하고, 올해 확대된 자율주행 분야 국가전략기술 세액공제를 통해 민간의 과감한 투자를 유도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연내 ‘AI 미래차 생태계 강화전략’을 마련해 미래차 산업 발전을 뒷받침한다는 구상이다. 이와 관련해 김 장관은 “기업 비즈니스 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원본 주행 영상정보 활용 제한, 운전자 탑승 없는 시험 주행 금지 등 걸림돌이 되는 규제를 개선하겠다”고 했다.